티스토리 뷰

2019년부터 매년 경제전망 책을 출간하고 있는 경제읽어주는남자 김광석 님이 2025년에도 역시 경제전망 책을 출간했다. "경제를 모르고 투자를 하는 것은 눈을 감고 운전하는 것과 같다"고 말하는 저자는 2025년에 총 18가지 주요 경제 트렌드를 전망하고 있다. 

 

 

피벗의 시대 2025년 경제전망 - 예스24

금리 인하 이후 세계 경제와 한국 경제는 어떻게 변화할까? 미국 경기침체와 세계 경제 불황에 대한 우려, 이는 과연 과도한 공포일까? 2024년 8월 5일, 엔 캐리 청산으로 세계 주식시장이 급락했

www.yes24.com

 

피벗의 시대 2025년 

 

 

피벗은 '방향 전환'을 뜻하는 용어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동안 인플레이션으로 고금리의 긴축적 통화정책 기조에서 2025년에는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완화적 통화기조로의 전환이 이루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25년을 결정지을 18가지 경제 트렌드

 

세계경제트렌드(7)

No. 경제 트렌드 주요 내용 
1 피벗의 시대, 금리인하 이후의 경제 통화정책 기조의 방향 전환 : 세계 주요국 점진적 기준금리 인하
2 '역피벗'하는 일본, 수퍼 엔저와의 작별 마이너스 금리와의 작별, 일본만 반대로 기준금리 인상
3 엔 캐리 청산 공포, 피벗의 역습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 축소 흐름으로 엔 캐리 청산이 전개될 가능성 고조 
4 '저성장의 늪'에 빠진 세계경제 2024년까지 적용한 고금리의 영향으로 세계 주요국 저성장 고착화
5 '나 홀로 골디락스'미국 세계가 요동치는 가운데 연착륙에 성공하는 미국 경제
6 해리스 노믹스 vs. 트럼프 2.0 시나리오 미국 대선 이후 펼쳐질 세계 경제의 변화
7 극단적 보호무역주의 시대의 재림 세계 주요국이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경쟁적으로 도입 

 

 

한국경제트렌드(7)

No. 경제 트렌드 주요 내용 
1 '피크 코리아'가  아닌 '두 번째 한국'으로 잠재성장률 저하에 놓인 한국, 재도약을 위한 도전
2 초고령사회, 초월적 준비 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20% 초과, 인구구조 변화의 가속화
3 국제기구의 한국 가계부채 경고 (1)가계부채 규모 과다, (2) 빠른 부채증가 속도, (3) 상환 능력 저하
4 경기불황 속 고용 호조 노동시장의 양적 증가, 질적 하락 : 불황형 고용 호조
5 2025년 부동산시장 전망:'비대칭화의 진전' 서울 및 수도권의 부동산 상승세 지속, 비수도권은 조정 국면 지속

 

 

✅산업. 기술트렌드(7)

No. 경제 트렌드 주요 내용 
1 AI 반도체 내재화, 빅테크 기업들의 야심 빅테크 기업들이 AI 반도체 자체 개발에 나서면서 경쟁 격화
2 전기차 캐즘의 시대 출혈 경쟁과 중국의 시장 장악 등으로 한계에 봉착한 전기차 시장
3 에너지 패권 전쟁의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로 세계 주요국의 전통 에너지 패권 경쟁 격화
4 C커머스 한국 상륙 작전:'알테쉬'의 공습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계 쇼핑 앱의 한국 시장 점유 확대
5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과 세계 공급망 재편 남반구에 위치한 개발도상국들이 공급망, 자우너 등으로 지위 부상
6 지정학적 리스크와 K-방산의 미래 국지적 전쟁이 장기화되고, 세계가 분절화되면서 방위 산업 성장 

 

'나 홀로 골디락스' 미국

1) 돈의 이동 : 주식 & 펀드자금이 5.5% 고금리의 미국 시장으로 흘러 들어감

2) 미국의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 (IRA, 보호무역주의) 

3) 외국인 인력의 유입

4) 미국이 AI 기술을 선도하고, 이를 전 산업에 범용화하고 있음 

5) 미국이 원유 수출국이 되었음

 

극화되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1) 경기 침체 구간에서는 보통 자국 산업을 우선적으로 보호하려는 조치를 단행하는 경향 있음.

2) 미. 중 패권 전쟁이 격화하며, 극단적 보호무역주의 시대 도래

3) 자국 혹은 역내 생산 시설 이전을 촉구하는 방향으로 보호무역주의 조치 증가

4) '기후 변화 대응'이라는 세계적 의제 등장 → 새로운 보호무역주의 일으킴 

 

 

넘어진 것은 당신의 잘못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일어서지 않는 것은 당신의 잘못이다.

- 스티브 데이비스 

 

 

경기불황 속 고용 호조

 2024년, 2025년 고용률 전망치가 62.8%, 63.0% 로 견고할 것으로 예상됨. 경기는 나쁜데 최고의 고용 지표를 보이는 이유는?

1) 삶이 팍팍해서 (실업을 선택할 수 없는 상황) 

2) 임시 근로자가 늘어서 

3)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 - 일하는 고령층 가파르게 증가

4) 통계산 실업자로 정의되기가 어렵기 때문

 

2025년 부동산시장 트렌드 : '비대칭화'의 진전

-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부동산 시장이 비대칭적으로 전개될 것으로 전망됨. (수도권은 완만한 상승세, 비수도권은 하락세)

- 평균이라는 함정에 빠지지 말 것: 부동산 시장이 상승했다고 하더라도 지방은 하락할 수 있음 

- 수도권 인구는 2035년까지 늘어나는 반면 비수도권 인구는 줄어듦 (지방소멸 현상 가속화) 

 

 

전기차가 성장 한계에 봉착한 배경

1) 세계적 긴축 흐름으로 전기차 보조금 축소

2) 출혈 경쟁 ; 다양한 기업이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어 공급 과잉된 시장

3) 중국의 시장 장악 

4) 가격 경쟁 본격화 (중국의 역할이 큼) 

 

2025년 경제는 항복점

나뭇가지에 힘을 가하다 빼면 제자리로 돌아온다. 하지만 특정 수준 이상의 힘을 받으면 부러지는데 이를 항복점 (yeilding point)이라고 한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고금리 시대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피벗의 시대로 향해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 경제는 코로나 이전의 중성장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저성장으로 고착화될 전망으로 저자는 2025년을 항복점의 시기라고 명하고 있다.  

 

 

본 책은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기 전인 2024년 9월 초판 발행 되었다. 현재 트럼프의 각종 정책 (관세 정책, 이민자 정책 등)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올해 예상했던 것보다 금리 인하를 적극적으로 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얼마나 완화적 통화기조로 전환이 이루어질지 지켜봐야겠다. 작년부터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채권을 많이 사두었는데.. 내 채권은 언제쯤 반등할 수 있을까?? (=언제쯤 기준금리가 더 인하될 것인가?) 

 

올해도 모두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